

지난달 31일 서울 마포구 '평화의 집'에서 만난 길원옥(87)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이하 수요집회)'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길 할머니가 피해자 신고를 한 것은 2002년. 그때부터 지금까지 집회 때마다 한가운데 자리를 지켜온 길 할머니는 "예전엔 내 고향, 내 지방 사람들도 가시눈으로 봤는 걸"이라며 지난날을 돌이켰다. 수요집회는 1992년 1월8일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시작됐다. 매주 수요일 정오마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사죄하라" "배상하라"를 외친 것도 어느 덧 22년째. 초창기에는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를 주축으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만 현수막과 확성기 하나를 들고 외로운 싸움을 했지만, 지금은 수백명의 시민들이 평화의 소녀상 주변에 모여 수요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에 항의하기 이전에 정조 관념이 강한 한국 사회와 먼저 싸워야 했다. 위안부 피해자 신고를 받기 시작했던 1990년대 초 정대협에는 "부끄럽다"며 운동을 멈추라는 시민들의 항의전화가 오기도 했다. 사람들이 몰리는 점심시간에 열리는 수요집회에서는 "뭐 저렇게 창피한 짓을 길거리까지 나와 떠드느냐"는 일부 행인들의 소리도 들어야 했다. 피해자 할머니들도 움츠러들 수밖에 없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1990년대 수요집회를 하다가 한 할아버지가 내 멱살을 잡으며 '우리 강제징용 문제도 해결 안 됐는데 부끄러운 과거를 무엇하러 꺼내느냐'고 한 적도 있다"며 "이때는 할머니들도 자신이 피해자였다고 신고하고 증언했음에도 스스로 수치스럽다고 여겼다"고 말했다.
시간이 흐르고 세대가 바뀌면서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시민들의 생각도 달라졌다. 할머니들도 자신감을 찾게 됐다. 윤 대표는 위안부에 대한 인식이 바뀐 시민과 할머니들이 서로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이 수요집회를 이어나가는 원동력이라고 말한다. 윤 대표는 "시위를 지켜보던 사람들의 시선이 '외면'이나 '멸시'에서 '감사'와 '지지'로 바뀌면서 할머니들도 '스스로 부끄워할 문제가 아니다'며 기존 사고를 깨트렸다"며 "이에 용기와 힘을 얻은 할머니들이 더 당당해졌고 이런 모습이 또다시 사람들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수요집회에 참석하는 시민들은 할머니들에게 '지금까지 살아주셔서 감사하다'거나 ' 전쟁의 아픈 기억을 꺼내 우리에게 알려줘서 고맙다'고 지지를 보내고 있다.
2012년 3월8일 길원옥ㆍ김복동 할머니는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대대적인 선언을 했다. 일본 정부로부터 피해 배상금을 받으면 그 돈을 전시 성폭력 피해 여성들을 돕는 데 기부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배상금은 아직 받지 못했지만, 할머니들이 전면에 나서 전쟁 피해 여성들을 위한 이른바 '나비기금' 후원회원을 모집하기 시작했다. 김복동 할머니는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